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Korean speaking classes in Metaverse and report the cases. Since Metaverse is a virtual implementation of the real world, it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tool that can elicit learners’ interactions through practical speaking task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and task-oriented teaching. In this study, a Korean speaking class was conducted for about a month for 23 beginner Korean learners in Gather.town, which has the highest educational utilization among Metaverse platforms developed so far. As a result, over 90% of learners portrayed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rest and interaction in class and usefulness in speaking practice. However, the Metaverse educational platform still lacks certain features and has limitation of the construction of a 5G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drive the Metaverse platform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classes remain as challenges.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in the use of Metaverse platform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수업 설계
4. 수업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위한 텍스트 구어성 측정 공식 개발 연구
- K-POP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과정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 웹툰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거절 화행 수업 방안 연구
- 한국어 이메일 코퍼스에 나타난 고정된 공손 표현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평가 체계 개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조사
- 상황 맥락에 따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술적 언어사용역 인식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술지 논문 초록의 헤지 표현 및 부스터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의사소통 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e-PBL 모형과 단계별 스캐폴딩 연구
-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의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추천 논문
-
기현선(Gi Hyun su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한국어 교육 연구 한국어교육연구 제6호 2017.02
-
한국어 교재의 말하기 활동 연구KCI등재김상수 동남어문학회 동남어문논집 동남어문논집 제24집 2007.11
-
한송희(Song Hee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8호 2023.09
-
전형길(Jeon Hyeoung-gil), 장미정(Jang Mi-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12호 2020.06
-
전홍식(Chon Hong Si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6권 2006.02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