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대학생 401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을 독립변인, 대인관계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어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검증하여, 자기자비가 내면화된 수치심이 반추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자기자비가 매개효과의 크기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자비 수준이 높아지면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의 크기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결론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추의 매개경로를 검증하고, 이 매개효과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조절변인인 자기자비의 영향력을 통합적인 모형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상담 장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대인관계의 불편감과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개인 내적 원인을 이해하고, 내담자들을 도울 수 있는 자기자비를 활용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rvey data of 40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used for analysis. Internalized shame was the independent variable, interpersonal satisfaction was the dependent variable, rumination w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through self-compassion was verified.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was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rumination. Afterward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elf-compassion controlled the size of the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I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was verified, and then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a moderating variable that could lower the siz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this, an integrated model called the coordination mediation model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ternal causes of clients who complain of discomfort and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e to internalized shame in the counseling scene.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finding intervention methods using self-compassion that can help cli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