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주택가격 및 금리 변동에 따른 청·중년가구의 부도위험 연구

The Impact of Real Estate Price Drop and Interest Rate Fluctuation on Households’ Default Risk

  • 217
부동산연구 제33권 제2호.jpg

본 연구는 금리 인상과 부동산가격 하락이라는 거시경제 변화가 자가점유 가구의 부도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금리 인상과 부동산가격 하락이라는 충격 변수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부도위험 가구를 스트레스 테스트 하였다. 분석결과 부도위험 위기에 처한 가구 비중은 0.14~4.02%로 높지 않지만 부정적 충격의 강도가 커질수록 청년의 부도위험 비중이 특히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정적 충격의 강도가 가장 강한 시나리오에서 청년가구의 부도위험 비중은 9.80%로 가장 높으며, 이들 가구의 56.5%는 중소득 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부도위험 가구로 전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청·중년 가구는 전체 가구와 달리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원 수 등과 같은 인구학적 요인의 통계적 유의성이 대부분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가구에 비해 부도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한계효과가 크고, 소득변수의 영향력이 유의한 음(-)의 방향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 총 자산 대비 금융자산, 부동산 구입목적 담보대출과 신용대출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의 변수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청·중년 중산층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청·중년 중산층은 사회·경제의 주축이라는 점에서 청·중년 위기가구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real estate price decline and interest rate fluctuation on the default risk of mortgage-holding homeowners. Default risk is measured using cash flows and net asset holdings at the household level. First, using a stress test, we examine how these measures are affected by a variety of stress scenarios. The result shows that 0.14%-4.02% of households are at risk of default; therefore, the households’ default risk is not high. However, youth and middle-aged individuals are exposed to higher default risk than other age groups, and an estimated 56.5% of youth exposed to default risk belong to the middle-income class. Second, employing the probit model, we find tha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and education variables are no longer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for youth and middle-aged individuals compared with all other age groups. Furthermore, households with low financial assets, low net assets, multiple mortgages, and multiple properties have a higher default risk. Our results shed light on the necessity of monitoring youth and middle-aged individuals' financial health in order to lessen their social and economic impact.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Ⅲ. 스트레스 테스트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