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신학과교회 제19호.jpg
학술저널

미투(#MeToo) 운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Christian Ethical Considerations on the #MeToo Movement: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hange and Formation of Women Subjectivity

  • 59

한국 사회의 미투 운동은 성폭력 피해가 더 이상 피해자 개인의 문제가 아님을 인식하고, 공론의 장에서 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으로 정착되어 가면서 여성을 정치적 주체로 서게 하는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결코 비껴갈 수 없는 한국교회도 성폭력 현상에 대해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 본 논문은 끝나지 않는 미투 운동에 대해 기독교윤리적 관점에서 분석과 성찰을 통해 미투 운동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미투 운동을 여성 주체성의 형성 과정으로 적극적으로 평가하며, 그것을 사회 변혁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끝으로 다양한 사회 변화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성폭력 피해자의 호소가 공정하게 해결되지 않는 그 원인들을 규명하면서, 폭력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교회 여성의 주체성 형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며 미투 운동의 기독교윤리적 의의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The Korean Social Movement recognizes that sexual assault and violence is no longer a personal problem of the victim and leads to a major change in the women’s standing as a political subject as it is settled as a new discourse on sexuality in the field of public opinion. The Korean church, which can not be ignored in this reality, should respond responsibly to sexual violenc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MeToo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and reflection from the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on the Me Too Movement which is not finished. In the process, I have actively evaluated the Me Too movement as a process of formation of women subjectivity and establish it as a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

I. 머리말

II. 미투 운동과 여성의 정치화

III. 미투 운동과 기독교 여성 주체성(Subjectivity)

IV. 맺음말: 미투 운동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성찰과 한국교회의 과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