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일을 병행하는 엄마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의미 탐구
An Inquiry on Educational Meaning of Lives of Mothers with Multiple Jobs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미래교육학연구
- 제36권 제2호
-
2023.0685 - 117 (33 pages)
-
DOI : 10.35283/erft.2023.36.2.4
- 78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일을 병행하며 살아가는 엄마들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 각자의 삶의 이야기가 어떻게 구성되며, 이는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갖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는 비전형적인 일에 열등성을 부여해온 경제적 관점의 한계를 극복하고, 주도적으로 대안적 삶의 방식을 모색해나가는 여성들의 성장 경험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연구방법: 두 가지 이상의 직함과 수입원을 갖고 일하는 엄마 4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과 3회에서 5회의 공식적 면담과 대화모임, 비공식적 대화를 진행하였으며, 현장텍스트(연구자료)는 시간성, 공간성, 사회성을 고려하며 내러티브적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최종 연구텍스트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여러 일을 병행하는 엄마로 살아가는 과정은 물적, 정서적 차원에서 끊임없이 조율과 협상을 반복하며 의미있는 삶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 이에 대해 주체성을 발휘하는 과정, 의미를 추구하는 과정, 일상의 질서를 협상하는 과정,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비전형적인 방식으로 일하는 엄마들의 삶에서 일과 가족이 교차하는 경험에 대해 교육학적 관점에서 이해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기울어져있는 사회구조적 여건 속에서도 일과 육아를 병행하며 자신의 행복 뿐 아니라 사회에 기여하는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life experiences of mothers who are multiple job holders, seeking to expand an understanding of mothers’ alternative way of working by overcoming the dichotomy of full-time working mothers and full-time housewives. Data was collected from four participants and was analyzed with a narrative inquiry.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coordinate and negotiate their works and lives, moving toward more meaningful lives.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how work and life intersect in the lives of mothers who are holding multiple job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