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학 행정직원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Burnout in Chinese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and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 제28권 2호
- : KCI등재
- 2023.06
- 51 - 64 (14 pages)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개인-환경 적합성, 직무열의, 직업소명의식, 직무 소진상태,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중국 지역의 여러 대학교를 중심으로 현재 재직 중인 남녀 행정직원 대상으로 303부 설문지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변수 간의 가설검증을 진행하기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개인-환경 적합성은 개인과 조직의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접근되는데 직장 생활을 하는 대학 행정직원의 입장에서는 업무환경 중에 대인관계, 조직, 그리고 직무 자체 등에 대한 적합성이 중요하다. 더불어 어떤 종류의 적합성이건 인식의 정도가 높은 경우, 직무, 조직 등에 있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반면, 그 반대의 경우, 부정적인 태도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 매개함으로써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이어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직무소명의식은 개인-환경적합성과 직무소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직무소진에 대한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environment fit, job burnout, occupational identity, job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hinese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thusias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A sample of 303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SPSS 22.0. The concept of person-environment fit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management teachers who reside on campus, evaluating the teacher’s suitability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ganizations, and tasks is importan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degree of recognition is high in any kind of suitability, a positive attitude is formed toward the job and organization, and if it is low, a negative attitude takes form. In addition, job enthusiasm effectively influences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job burnout by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A sense of professionalism means that the effect on job burnout can be maximized by effectively controlling personal-environment fit and job burnou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결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