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년간 국가빅데이터(AIMS) 분석을 통한 국내도입 가금티푸스 생균백신(SG9R Live vaccine)의 접종효과에 대한 조사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Inoculation Effect of Live Fowl Typhoid Vaccine (SG9R) Using National Big Data (AIMS) for 28 Years Since 1995
- 한국산업기술융합학회(구. 산업기술교육훈련학회)
- 산업기술연구논문지
- 제28권 2호
- : KCI등재
- 2023.06
- 159 - 168 (10 pages)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 양계농가에 가금티푸스(FT)가 급격히 증가하자 우리정부는 2001년에 양계농가들의 강력한 민원요청에 따라 준비가 부족한 상태이었지만 시급히 FT생균백신(SG9R)의 도입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국내와 같이 심각하게 FT로 오염된 환경에서 생균백신의 FT방어효능을 제대로 발현했는지에 대한 의문점을 찾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장기간인 총 28년(1995년-2023년 초까지)의 시간흐름동안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기록 및 관리하고 있는 국가 Big-Data(AIMS)의 분석을 통하여 전국의 양계농가에서 발생된 FT발생건의 변화양상의 분석을 시도하여 생균백신의 방어효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총 28년 동안의 국가Big-Data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불충분한 준비상태에서 도입하긴 했지만 FT생균백신(SG9R)은 우리나라와 같이 심각하게 FT로 오염된 환경에서 긍정적인 FT방어효능을 발휘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After fowl typhoid (FT) incidence rapidly increased in domestic poultry farms after the lat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introduce an attenuated live FT vaccine (SG9R) in 2001, despite a lack of preparation, in response to strong complaints from poultry farm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FT-protective effect of the live vaccine (SG9R) was properly expressed in areas that were seriously contaminated with FT, such as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live vaccine (SG9R)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FT outbreaks in poultry farms across the country using national big data (AIMS) for a total of 28 years (from 1995 to early 2023).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AIMS data over the 28-year period showed that the attenuated live FT vaccine (SG9R) was introduced with insufficient preparation but still produced a positive FT protective effect in poultry farms that were seriously contaminated with FT in Korea.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실험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