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세종시 교육 분야의 1인 1스마트기기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증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기기 사용 정도, 학습 역량,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을 측정하였고, 경로분석을 통해기기 사용 정도와 학습 역량이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기 사용정도는 학습 역량과 스마트기기 활용 역량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습 역량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래사회에 필수적인 역량인 학습자의 스마트기기활용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습 시 스마트기기를 적절한 규칙하에서 사용하면서 인적·물적 자원이풍부하게 제공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을 충분히 개발하여 교사들이 수업 중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ne smart device per person in the education in Sejong City. To this end, device use, learning competency,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competency are measured for students at empirical schools. The effects of device use and learning competency on smart device utilization are confirmed by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 device us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oth learning competency and smart device utilization competency, and has a greater impact on learning competency. The method proposed to improve the learner's ability to use smart devices, which i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the future society, is as follows. A learning environment rich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but smart devices should be used under appropriate rules.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sufficiently develop educational methods that can enhance learning capabilities so that teachers can use them realistically during clas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