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염병 위기와 방역시스템 인식 분석 및 대응 방안
- Gaoyuan Li
-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위기관리연구논총
- 제4권 제2호
- 2020.12
- 1 - 12 (12 pages)
인류 역사는 바이러스와 맞서 싸운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매년 약 29만에 약 64만명이 인플루엔자 관련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 바이러스가 야기하는 질병과 재난은 지금까지 인류와 매우 가까워서 바이러스의 원인과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대비를 강화하고 과학적으로 대응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속에 나타난 감염병이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방역시스템에 미치는 역할 등을 분석하여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감염병 위기에 인류의 지속가능한 생존을 위한 올바른 대응과 방역 시스템을 모색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다른 한편 감염병 위기와 방역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감염병 위기 대응과 방역 시스템 발전방안 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바이러스 퇴치 노력부터 방역시스템 발전까지 COVID-19가 발생한 이후 나타난 각종 행동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방역시스템의 발전과 위기의식 향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감염병 위기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를 위하여 그래프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그래프 분석법은 사회현상의 상황을 통계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내 사회현상의 양적인 변화와 규칙성을 각 방면에서 비교분석하고 연구하는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Human history can also be said to be the history of fighting against viruses. Worldwide, about 290,000 or 640,000 people die each year from influenza-related respiratory diseases. Diseases and calamities caused by viruses have so far been very close to humanity, so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mechanisms of viruses helps us strengthen preparedness and respond scientifical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in history on human society and the role they play on the quarantine system, and to find the right response and quarantine system for the sustainable survival of mankind in the face of an ever-increasing infectious disease crisis. and presents an alternative. On the other hand, it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and the quarantine system, and to provide opinions on how to respond to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and develop the quarantin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quarantine system and improving awareness of crisis by analyzing variou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tat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from human efforts to eradicate the virus to the development of the quarantine system. They also discussed how to deal with an infectious disease crisis. For this purpose, a graph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graph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ntitative change and regularity of social phenomena in various fields by representing the situation of social phenomena in the form of statistical graphs.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감염병과 방역 시스템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분석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