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伝統的建造物群保存地区における景観分析と修景効果のシミュレーション
長崎県雲仙市神代小路地区を事例に
- 陳萍 杉山和一
-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위기관리연구논총
- 제5권 제2호
- 2021.12
- 1 - 19 (19 pages)
본 연구는 나가사키현 운젠시 쿠니미쵸 신시로코지 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개별 대상물과 그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즉, 우선 경관을 형성하는 개별대상물의 인상을 평가하고, 그 대상물끼리의 인상의 관계성을 밝혔다. 다음에, 각 대상물의 인상의 강도를 평가에 추가하여 지구 전체의 가중치 인상 평가 종합점을 명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나가사키현 운젠시 코지로쿠지에서 SD법을 이용하여 건물, 정원, 벽 등의 질적인상을 평가하였다. 둘째, 자격이론 3유형과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사물에 대한 인상과 각 사물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모든 사물의 인상에 대한 가중치를 도입하여 전체 면적에 가중치를 부여한 인상의 총점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 객체를 숨길 경우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했습니다. 그 결과 인상 평가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했다.
FThis study is targeting Shinshirokoji district, Kunimi-cho, Unzen city, Nagasaki prefec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individual objects forming the landscape and their relationships. That is, first of all, the impressions of individual objects forming the landscape were evalu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essions of the objects was revealed. Next, the strength of each object's impression was added to the evaluation, and the overall weighted impression evaluation score of the entire district was specified. First, in this study, qualitative impressions of buildings, gardens, and walls were evaluated using the SD method in Kojirokuji, Unzen City, Nagasaki Prefecture. Second, the three types of qualification theory and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ression of obje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bject. Third, weights for the impressions of all objects were introduced and the total score of impressions weighted to the entire area was calculated. Finally, we simulated the effect of hiding low-valued object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impression evaluation result was confirmed.
Ⅰ. はじめに
Ⅱ. 研究方法
Ⅲ. 評価結果
Ⅳ. まと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