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새국어교육 13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기조절읽기를 통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수 분류사 인지 처리 양상

L2 Korean Advanced and Intermediate Learners’ Language Process of Korean Classifiers: A Self-Paced Reading Test Study

목적: 본 연구는 제2언어 환경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분류사에 대한 인지 처리 양상을 살펴본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해 새롭게 교재를 분석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분류사를 선정하여 학습자들의 한국어 분류사 인지 처리 양상을 알아보았다. 방법: 이를 위해 27명의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15명의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분류사에 대한 자기조절읽기 테스트(Self-Paced Reading Test)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 결과, 두 학습자 집단과 비교 집단인 모어 집단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명, 대, 회’ 등 분류사별 결과에서도 눈에 띄는 차이가 존재했다. 결론: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한국어 분류사의 인지 처리 양상을 자기조절읽기 테스트를 개발하여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방법은 각 집단별, 분류사별 인지 양상의 차이를 보여주는 데에서 그쳤다는 아쉬움이 있으며, 분류사의 습득과 관련된 후속 연구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perceiving the classifi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second language environment. Previous studies analyzed textbooks to select classifier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d educational methods. This study selected classifiers used in actual language life based on this and newly analyzed textbooks, and learners' perceptions of Korean classifiers were investigated. Method: A Self-Paced Reading Test for Korean classifiers was developed and conducted on 27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and 15 native speak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earner groups and the native group, which is a comparison group,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each classifier such as ‘명, 대, 회’.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a self-Paced Reading test was developed and examined the cognitive processing patterns of Korean classifiers of Korea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such a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classifiers.

1. 들어가는 말

2. 한국어의 분류사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