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 논문이다.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을 교육할 때 다양한 미디어 자료 중 한국 영화(K-movie)를 제재로 활용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화 항목을 외국인 학습자에 노출 시켜 일차적인 교육으로 문화를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항목과 관련된 상황이 제시된 영화와 의사소통 중심의 활동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을 길러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중심의 여러 단계 활동을 거쳐 해당 문화 항목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면서 한국 문화를 올바로 이해하여 의사소통 상황이나 담화 상황에서 올바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쓴 논문이다.
This paper is a paper on how to educate foreign learners about cultural literacy. When educating cultural literacy in communication-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government proposed a plan to use K-movie as a sanction among various media materials. It will not educate culture as a primary education by exposing ostensible cultural items to foreign learners, but will foster cultural literacy through movies and communication-oriented activities related to cultural items. Through educational measures to foster such cultural literacy, foreign learners are expected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with cultural items through various stages of activity,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properly and using it in communication or discourse situations.
1. 서론
2. 문식성(literacy) 및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의 개념
3.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 교육의 의의
4. 문화적 문식성(cultural literacy)을 위한 교육 방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