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드라마, 영화, K-POP, 웹툰 등 전통적인 한류 콘텐츠에 이어 최근 한국의 문학이 ‘K-Book’, ‘K출판’이란 이름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일본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한국문학 열풍이 뜨겁다. 2016년 맨부커 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를 필두로, 세계적 권위를 가진 문학상 수상자에 한국 작가들이 이름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촉발된 K-Book 열풍은 BTS, 블랭핑크 등 한국을 대표하는 아이돌들의 독서 일상이 팬들을 중심으로 공유되면서 한류와의 밀접한 관계맺기를 통해 출판 시장 규모를 폭발적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더불어 한국의 페미니즘 문학이 유독 강세를 보이며 K-Book 열풍을 주도하고 있다는 특징도 목격된다.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일본에 ‘사회현상화’라 불릴 만큼 기록적인 판매부수를 낳으며 일본인들의 공감을 받았고, 그 열기는 정세랑, 최은영, 김금희 등 여성서사를 중심으로 한 문학작품 및 관련 영화, 드라마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한국과 일본 사회에 여전히 뿌리 깊게 존재하는 가부장적인 사회 분위기, 남녀 차별 문제 등 양국의 여성들이 처한 현실이 문학 속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세계적으로 젠더 담론이 빈곤한 나라로 꼽히는 일본,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이 한국의 번역문학을 통해 자신들이 처한 삶의 현실과 내면의 목소리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K문학의 새로운 가능성과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Following traditional Korean Wave contents such as Korean dramas, movies, K-POP, and webtoons, Korean literature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under the names “K-Book” and “K Publishing”. In particular, the Korean literature craze, which is spreading around Japan, is hot. The K-Book craze, triggered by Korean writers starting to be named the winners of the worldrenowned literary award, led by Han Gang, which won the Man Booker Award in 2016, is explosively expanding the publishing market by establish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Wave. In addition, Korean feminist literature is strong and is leading the K-Book craze. Cho Nam-joo's novel 『Born 1982 Kim Ji-young』 has gained so much sympathy that it evokes “social phenomenon” in Japan that it has a record sales volume, and its enthusiasm leads to related movies and dramas, centering on female narratives such as Jeong Sye-rang, Choi Eun-young, and Kim Geum-hee. Analysts say that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because the literature reflects the reality faced by women from both countries, such as the patriarchal social atmosphere and gender discrimination that still exist deeply in Korean and Japanese society. In particular, in Japanese society, where gender discourse is famous worldwide, women have discovered their lives and voices through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
1. 서론
2. K-Book 열풍의 현재와 특징
3. 이례적인 한국 페미니즘 문학의 강세와 일본 사회
4. 결론 : K출판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