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방어는 국방의 중요한 과업이자 영원한 숙제이다. BM, CM 등 기존의 위협에 더하여 KN-23, SLBM, 극초음속 미사일 등 새롭게 고도화된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상기반 센서만으로는 이러한 위협에 대한 대응이 제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적 미사일 발사의 상시감시/조기탐지 및 미사일 궤적의 추적이 가능한 우주기반 센서체계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기반 센서체계의 하나인 조기경보위성의 개념과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종심이 짧은 한반도 환경에서 조기경보위성을 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군사적 효용성과 민간분야 활용성을 제시하고 이 체계의 획득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Missile Defense is an important task and an eternal task for national defense. In addition to existing threats such as BM and CM, newly advanced threats such as KN-23, SLBM, and hypersonic missiles are increasing. However, ground-based sensors alone may have limited responses to these threats. Therefor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a space-based sensor system capable of always monitoring/early detecting enemy missile launches and tracking missile trajectories can be considered. This paper analyzed the concept and advanced cases of early warning satellites, one of the space-based sensor systems, presented military utility and civilian applicability obtained by operating early warning satellites in a short-distanced Korean Peninsula environment, and emphasized the need to acquire this system.
Ⅰ. 서론
Ⅱ. 본론
Ⅲ. 조기경보위성 본체 및 탑재체 제원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