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upport Policie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Bookstores

  • 42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111호.JPG

지역의 인구감소, 온라인 서점 성장, 디지털화 등의 사회환경변화에 의한 책의 위기, 지역서점 소멸위험 등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서점은 문화공간으로 기능하기 위한 물적 기반을 갖추어야 하며, 서점 지원정책과 연관된 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 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역서점 지원정책과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단체에서 지원하고 있는 지역서점 지원정책을 살펴보고 향후 지역서점 활성화를 위한 개선책으로 논의해야 할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서점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책 경험 공간을 고도화하고 문화적 기능을 확충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한국출판 문화산업진흥원의 조직 개편 필요 둘째, 「출판문화산업진흥법」에 근거한 지역서점 실태 전수조사의 시행 셋째, 유령서점에 대한 문제점 개선 넷째,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지역서점 자립 기반 구축 다섯째, 출판물 온라인 수·발주 활성화이다.

The decline in the population of the region, the growth of online bookstores, the crisis of books due to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such as digitization, and the risk of extinction of local bookstores are accelerating. In order to respond to this, it is urgent to make a physical foundation for local bookstores to function as cultural spaces beyond book sales.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related to bookstore support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cal bookstore support policy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Publishers &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and the local bookstore support policy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o find out what should be discussed as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local bookstores in the future.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bookstores, the result was derived that the book experience space should be advanced and cultural functions should be expanded,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organiz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by the Korea Publication and Culture Industry Promotion Agency. Second, conducting a comprehensiv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bookstores based on the 「Publication Culture Industry Promotion Act」. Third, solving the problem of ghost bookstores. Fourth,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elf-reliance of local bookstores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Fifth, activation of online purchase and ordering of publication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지역서점 활성화 지원정책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