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분석하였다. 92명의 한국어 학습자가 10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한 결과를 4가지 변인(성별, 한국어 숙달도, 한국어 학습 목적, 계승어로서 한국어 학습)에 따라서 학습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10가지 학습동기 하위변인과 4가지 변인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M=3.65)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한국어를 배우고자하는 열망 (M=4.28)이 가장 높았다. 학생들의 통합적 동기(M=3.81)와 도구적 동기(M=3.82)가 높은 반면, 불안(M=2.92)과 한국어 학습의 실패를 자신의 노력이 아니 주변으로 돌리려는 경향(M=2.00)이 낮게 나와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미 좋은 언어 학습자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도구적 동기가 다른 변인들과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불안과 자기효능감은 서로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5.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