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제한국어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s L2 on Korean audio-morphological awareness as L3

L2로서의 영어 사용 환경이 L3로서의 한국어 어휘 음절구조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4

본 연구의 목적은 중-영 이중 언어 사용 환경 변인이 추가적인 외국어(L3)로서 습득되는 한국어 음절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해 영어 모어 화자 집단과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 그리고 이중 언어 환경에서 L2로서의 영어 사용 능력을 획득한 중국어-영어 이중 언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어 2 음절 단어에 대한 음절 탐지 수행을 비교하였으며, 실험에 투입된 자극단어가 심성어휘집에서 인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실험참가자의 한국어 능력은 초급으로 통제되었다. 누적된 반응속도를 분석한 결과, 영어 모어 화자 집단과 영어-중국어 이중언어 화자 집단 간의 반응속도 차이는 근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편차가 없었으며,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은 위 두 집단에 비해 열등한 반응 속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모국어 변인에 의한 한국어 음절 지각 수행 능력의 차이가 확인되었고, 모국어 변인(L1)의 영향력이 목표 언어(L3) 학습 이전에 습득된 외국어 변인(L2)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연구문제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교실 환경에서 관찰되는 입문 단계 학습자의 한국어 음성 자극에 대한 반응 수행의 편차를 설명하는 변인을 일부나마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둘째, 연구방법론적으로 L3 변인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기존의 단어추측 과제(Singleton et al 2006; 유은정 2008; 정유현 2011; 백영경 2013)에 비해 한국어 숙달도가 낮은 집단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실험대상자의 통제된 한국어 숙달도는 개인별 언어 숙달도 및 언어 지식 변인의 편차를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L1 및 L2 변인의 효과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는데 기여하였다.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3. Experiment Design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