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발견된 논산시 가야곡면 산노리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유구 및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소수의 구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 유적 내 퇴적층에서는 한반도 갱신세의 특징인 다수의 토양쐐기가 발견되었으며, 석기의 기술적 면모는 고졸하고 단순한 면모가 뚜렷한석영계 석재의 Mode 1 구석기 공작이다. 대부분 지표 및 교란층에서 발견된 석기군이기 때문에 정확한 퇴적층의 면모와 그 연대를 파악하기는 현 단계에서 쉽지 않다. 그러나 유적 내 유물이 발견된 퇴적층의 OSL 연대를 감안할 때 본 산노리 유적의 유물층은 한반도에서 그 발견 사례가 많지 않은 MIS 6기 혹은 그보다 연대가 더 올라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다. 아직까지 MIS 5기를 상회하는 구석기유적이 한반도에서 많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때 본 산노리구석기 유적은 대륙에서 한반도로의 고인류 유입 및 구석기 제작의기술적 발전 과정을 파악하게 해 주는 자료로 볼 수 있다. 인근의 충청남도 및 금강 배후 분지에서 이와 비슷한 유적이 추가로 확인되기를 기대한다.
A new palaeolithic locality, the Sannori Site, was discovered in the course of excavating the features of Bronze Age and later Joseon period in the Nonsan City area. The sediments of the Sannori site contain, as well as small numbers of lithic artifacts, several wedge-shaped cracks indicative of the cold and dry Upper Pleistocene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ithic specimens demonstrate very primitive and unpatterned(Mode 1) modification and were retrieved from surface or out of their primary contexts. Henceforth, the reliable age of the lithic specimens are not currently crystal-clear. The calculated OSL dates indicates the artifact-containing sediments were formed earlier than the MIS 5 though, and possibly during the MIS 6 or far older dates. While there lacks archaeological evidence undisputedly older than MIS 5 in Korea, the Sannori site and its lithic speciments adumbrates the earlier occupation of hominin before the last interglacial. It is anticipated that more well-preserved and reliable archaeological record will be discovered around the inner Hoseo area and can furnish an explicatory background to demonstrate when and how the initial hominin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ccurred.
Ⅰ. 서론
Ⅱ. 산노리 유적의 입지와 발견 및 조사 과정
Ⅲ. 산노리 유적의 연대와 그 형성 과정
Ⅳ. 산노리 유적에서 발견된 석기들과 그 기술적 의미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