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제한국어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Who is talking? From Teacher-led to Student-led Discussion in Advanced Korean Classes

고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학습자 주도 토론 방식에 대한 연구

  • 2

본 논문의 목적은 고급 한국어 수업에서 도입된 학습자 주도 토론 방식의 효용성과 수업 내에서의 이행 절차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학습자 주도 토론은 언어 수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인 교사 주도 토론과 대칭되는 개념으로 언어 수업내의 토론의 모든 요소를 학습자들이 계획하고 주도하게 허용함으로써 언어습득과 내용 습득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다. 토론 준비에서부터 토론 진행의 모든 절차를 학습자들의 자율에 맡김으로써 학습자들의 토론 참여 동기를 높여 결과적으로 적극적인 협력학습과 참여를 유도하려는데 그 취지가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학습자 주도 토론 방식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소개하고 나서 실제 두 고급반 수업에서 적용했던 학습자 주도 토론 방식과 그 내용을 자세히 소개하고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 평가를 분석, 검토한다. 교사 평가는 수업을 담당했던 교사의 입장에서 바라본 학습자 주도 토론의 효율성에 대한 평을 제시하고, 학생 평가는 실제 토론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말하기 기술의 향상을 비롯한 제반 언어 능력의 향상, 그리고 더 나아가 비판적 사고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토론에서 다룬 주제의 내용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 효과를 가져 온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포함돼 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학습자 주도 토론의 진행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1. Introduction

2. SLD in Literature

3. SLD in Advanced Korean Classes

4. Teachers’ and Students’ Assessment of SLD

5. Discussion

6. Conclusion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