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제한국어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Processing and Acquisition of Korean Passive Voice by Chinese L2 Learners

중국인 제2언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태 처리와 습득

  • 4

본 연구는 시각적 상황 정보에 대한 음성 문장 자극을 제시하는 그림-문장 검증 과제를 통하여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인 제2언어 학습자의 정확도와 반응속도를 비교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통사적 차이로 인해 피동문 처리가 능동문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Mauner et al. 1993). 또한 모국어 화자는 피동작주가 여격으로 나타난 피동문(예: “오빠에게 잡혀요.”)을 동작주가 주격으로 나타난 유형(예: “언니가 잡혀요.”)보다 어려워한다고 보고되었다(정해권⋅이선영 2013). 본 연구에서 (i) 모국어 화자는 전반적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는 숙달도 증가에 따라 전형적인 U자형 발달을 보였고, (ii) 모국어 화자는 주격 피동문을 여격 피동문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였지만, 중국인 학습자는 이와 반대로 여격 피동문을 더 잘 처리하였다. (iii) 이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모국어 화자와 달리 모국어 전이를 통해 어순 및 동형 사상 전략을 이용하거나 격조사의 기능을 정확히 습득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한국어 피동문 교수를 위해서 피동문에서 나타나는 각 문법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 그리고 피동 표현의 다양한 유형간에 나타나는 용법의 차이를 학습자들이 좀 더 정확하게 알아차릴 수 있도록 교수할 필요가 있다.

1. Introduction

2. Structure and Processing of Active and Passive

3. Research Methods

4. Discussion

5.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