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탐색하는 데있다. 방법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하여 다섯 개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 411부를 통계프로그램 PASW Statistics 18.0과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는 첫째, 빈도분석으로 각 변인들의 수준을파악한 후 t 검증 및 ANOVA 검증으로 일반특성에 따른 각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였다. 둘째,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부분매개 모형과 완전매개 모형을 설정하여 X2 검증으로 매개효과의 수준을 파악하였다. 셋째,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기수용, 진로결정 수준은 성별과 전공계열, 대학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세변인 모두에서 여학생과 전문대 학생의 수준이 높았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은 이과계열 학생들이 높았으나 자기수용과진로결정 수준은 문과계열 학생들의 수준이 더 높았다. 그리고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학생의 자기수용과 진로결정 수준이 가장 낮았고, 가장 높았던 1학년에서의 진로결정 수준이 2학년 3학년으로 갈수록 낮아졌다가 4학년에서 다시 높아지는 형태를 취했다. 둘째, 대학생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수용 수준과 진로결정 수준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수용 수준은 진로결정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결정 수준과의 관계에서 자기 수용은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장하여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대학생들의 진로 교육이나 지도 및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방향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in college students. Methods For this study, 411 copies of data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in five regions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PASW Statistics 18.0 and AMOS 18.0. The specific proced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he level of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n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variabl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hrough t-test and ANOVA verification. Second, after conducting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is variable, a partial mediation model and a full mediation model were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the mediation effect was identified through the X2 test. Thir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and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were calculated through the AMOS program, and the Sobel-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elf-acceptance, and career deci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jor, and university type. The level of female student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was high in all three variables, and the level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toward science students was high, but the level of self-acceptance and career decision was higher in liberal arts students. Also, the level of self-acceptance and career decision of students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parents was the lowest, and the highest level of career decision in the first grade decreased as it progressed from the second grade to the third grade, and then increased again in the fourth grade. Second,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self-acceptance and career decision, and the level of self-accept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Third, for college students, self-acceptance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extensive basic data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finding and presenting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