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동한문학 第75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國 古典의 日譯 現況 槪觀

이 글은 현재(2023.04.30.)까지 국내・외에서 출간된 한국 고전 일역본을 대상으로 그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 고전 일역은 지정학적 위치와 역사적 맥락에 따라 타 언어권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수행되었다. 이와 더불어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일역본의 현황을 파악하려는 작업 역시 꾸준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기존 서지 목록 중 일부는 특정 장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무엇보다 고전 문학의 경우 조선총서에 수록된 번역텍스트를 집중적으로 다루다 보니 누락된 작품이 산견된다. 또한 조사자의 일정한 기준 아래에서 일부 장르의 작품군 또는 자비출판물이 제외되기도 하였다. 특히 선집의 경우, 설화, 야담, 민요 등과 같이 원천텍스트를 명확히 확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이를 추정할 수 있는 소설집까지도 수록 작품 양상을 제시하지 않은 목록집이 상당수이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에서 기존 번역서지목록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까지 일역된 한국 고전을 조사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였다. 나아가서는 그 현황을 연도별, 작품별 그리고 번역가별 등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dumbrates the current status of Japanese Editions of Korean Classics produc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Japanes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has been conducted relatively earlier than that of any other target language within the geopolitical, historical context, along with which investigations into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versions of Korean Classics also has drawn much attention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Most of the existing catalogues, however, paid specific attention to only some genres such as novels or tales. When it comes to Korean Classics, too much focus is mainly on translations from Chosŏn Collectanea (朝鮮叢書, Chosŏn Ch'ongsŏ) produ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sulting in a number of significant translations not being included in the existing lists. Even in the case of anthologies, what literary works are included in each is not written in some of the lists. This paper, while supplementing the existing catalogues, aims to conduct an exhaustive investigation into what Korean Classics have been translated and introduced so far, based on which this paper also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Japanese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s by year, work, and translator.

1. 들어가며

2. 한국 고전 일역 현황

3. 한국 고전 일역 과제: 결론을 대신하여

부록: 한국 고전 일역 서지목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