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스크린테니스 참여에 따른 비만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건강 체력 변화

이 연구는 스크린테니스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A시에 소재한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13~16세 연령의 발달장애를 가진 남·녀 비만 학생들이다. 집단의 구성은 편의표집 할당되어 참여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총 23명이 참가하였다. 12주간의 스크린테니스 프로그램은 주 3회, 매회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2주간의 스크린테니스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체중과 신체질량지수의 감소로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2주간의 스크린테니스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허리둘레, 혈압, 중성지방, 그리고 공복혈당의 감소와 고밀도콜레스테롤의 증가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2주간의 스크린테니스 프로그램 참여가 비만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심폐지구력의 증가로 건강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을 기획하고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xperiment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screen tennis program on th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fitness of obes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bes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aged 13 to 16,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B special school in A cit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12) and control group (n=11). The 12-week screen tennis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a covari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ea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the 12-week screen tenn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of obes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Participation in the 12-week screen tenn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in obes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neutral fat, and fasting blood glucose, and an increase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astly, participation in the 12-week screen tenn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alth fitness of obes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These results can be suggested as a basis for planning and designing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