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읽은 후 쓰기 과제’의 수행 단계와 전략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문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 쓰기 과제의 성공적 수행은 한국어를 통한 학문 탐구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부여되는 쓰기 과제는 많은 경우 읽기 자료를 처리하고 이를 쓰기 과제에 반영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일반 목적의 한국어 수업에서는 읽기 자료에 근거하지 않은 자유 작문의 형태가 많으며 읽기와 쓰기가 통합적으로 교수·학습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더라도 읽기 텍스트의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읽기 자료를 스스로 선별하여 처리하기보다는 교사나 교재에 의해 주어지는 경우가 많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읽은 것을 바탕으로 쓰는 과제, 즉 읽은 후 쓰기 과제(reading-to write task)의 필요성을 규명하고, 이러한 유형의 과제의 특성을 규명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읽은 후 쓰기 과제’의 수행 단계 및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과제 수행 전략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이를 위하여 대학 수준의 쓰기 과제의 특수성을 밝히고 일반적인 읽기 전략과 읽은 후 쓰기 과제 수행에 필요한 전략 사이의 차이점을 규명하도록 하고자 한다.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Analysis on Academic Writing Assignment
4. Strategies for KAP Reading-to-write task
5.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