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elementary resources with developing syllabuses for thesis/dissertation writing classes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is study above, surveys of need were performed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analyses of syllabuses from three existing curriculums in two universities were made. Based on results from the researches, creating syllabuses for thesis/dissertation writing courses were suggested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s among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necessity of thesis/dissertation writing classes and, if those courses were established, willingness to enroll for such courses were questioned. The respondents showed strong desire for such courses, and the graduates wanted to learn total of fourteen subjects in the classes. Also nineteen categories were summarized from extracting forty four detailed contents of the three syllabuses. After comparing highly desired learning materials from the surveys and the syllabuses, five categories were added into the original nineteen categories to reflect the results of surveys from the students. Then, the new syllabu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writing the thesis/dissert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 고찰
3. 연구 절차
4.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조사 분석
5. 대학교별 강좌 개설 현황
6. 교수요목 제안
7. 결론
참고 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