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열공성 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두르기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및 유리체절제술 병합수술 후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의 변화를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안의 일차 열공망막박리로 본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공막두르기술을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는 수술 전, 수술 후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로 총 5회 측정되었다. 결과: 총 33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공막두르기술만을 시행한 환자는 18명(54%), 동시 시행군은 15명(46%)이었다. 전체환자에서 맥락막두께는 수술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었다(p<0.05). 공막두르기술만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 6개월 후맥락막두께(260.51 ± 78.30 μm)는 동시 시행군의 맥락막두께(225.55 ± 75.24 μm)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껍게 측정되었다(p<0.05). 또한 수술 전 맥락막두께는 황반부 박리가 있으면(276.46 ± 20 μm) 그렇지 않은 경우(223.93 ± 20 μm)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두꺼웠다(p<0.05). 또한 수술 전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와 시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일차 열공망막박리 환자에서 공막두르기술을 시행할 경우 중심오목하 맥락막두께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유리체절제술을 동시 시행한 경우 감소 정도가 컸다. 추후 맥락막의 변화 기전과 망막박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SFCT) before and after scleral encircling (SE), with or without trans-pars plana vitrectomy (TPPV), in patients with monocular primary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RR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patients who underwent SE for monocular primary RRD between January 2019 and June 2021 and underw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uring follow-up. SFCT was measured independently at three regions before the surgery and 1, 2, 3, and 6 months after the surgery. The values were manually analyzed by two independent ophthalmologists. Results: Of the 33 eyes included in the study, 18 (54%) underwent SE alone, while 15 (46%) underwent SE with TPPV. SFCT gradually decreased after surgery in all patients (p < 0.05). The SFCT was significantly greater 6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SE alone group (260.51 ± 78.30 μm) compared to the SE with TPPV group (225.55 ± 75.24 μm) (p < 0.05). Macular detachment patients had significantly greater preoperative SFCTs (276.46 ± 20 μm) compared to others (223.93 ± 20 μm) (p < 0.05). Preoperative SF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acuity (p < 0.05), while the remaining SFCT valu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Conclusions: In primary RRD eyes, SFCT decreased over time after SE, more so when TPPV was also performe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SFCT change and its impact on RRD.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