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대한안과학회지 volume64,number6.jpg
KCI등재 학술저널

50세 미만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망막정맥폐쇄의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목적: 50세 미만의 젊은 연령의 망막정맥폐쇄 환자들의 실제적인 임상 양상 및 시력 예후 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치료의 효과등을 분석한다. 대상과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망막정맥폐쇄로 진단받은 50세 미만 환자 36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 당시 나이, 성별, 과거력,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 망막부종, 치료 여부, 치료 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39.53 ± 9.98세였고 망막분지정맥폐쇄 50%, 망막중심정맥폐쇄 44.4%,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 5.6%였다. 망막중심정맥폐쇄 진단 이전에 진단받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가 38.9%였으며 새롭게 진단받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는 13.89%였다. 47.6%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이 관찰되었다. 최초 나안 및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가 최종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중심망막두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01, 0.655, 0.423, p<0.001, <0.001, 0.01). 결론: 50세 미만 망막정맥폐쇄 환자에서 초기 시력 및 중심망막두께는 최종 시력과 중심망막두께를 반영하여 치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시력 예후를 판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젊은 연령이라도 합병증이 발생하면 시력 예후가 나쁠수 있으니 전신 상태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필요하며 특히 혈중콜레스테롤 농도 등을 포함한 전신적인 평가를 권장해야 할 것으로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and visual prognosis of retinal vein occlusion (RVO) in patients under 50 years of ag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of 36 patients under 50 years of age diagnosed with RVO from January 2016 to October 2021. Results: The mean age was 39.53 ± 9.98 years and 50%, 44.4%, and 5.6% had branch, central, and hemi-central RVO, respectively. Before the RVO diagnosis, systemic disease had been diagnosed in 38.9%. Further, 13.89% of the cases had a new systemic disease diagnosed after the diagnosis of RVO. Hypercholesterolemia was observed in 47.6%. The initial visual acuity (VA),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central subfield thickness (CS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final VA, BCVA, and CST.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RVO under the age of 50 years, the initial VA and CST can be used as indicators to determine whether treatment is necessary by reflecting the final VA and CST. The initial VA and CST can also be used to predict the visual prognosis. Even at a young age, if complications occur, the visual prognosis of RVO may be poor, so an evaluation of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is essential, especially the blood cholesterol level.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