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5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과 쟁점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GVC in Korea’s Major industries: Focusing on the Electronics and Automobiles Industries

DOI : 10.15798/kaici.2023.25.2.113
  • 129

최근 발생한 러-우 전쟁, 코로나 19, 미-중 패권 및 기술 경쟁 하에서의 GVC 단절 현상은 개별 기업 차원에서의 대응 역량을 넘어서기에 국가 차원에서의 전략적 정책 수립과 준비가 필요하다. 기업 관점에서 현재까지는 기형성된 공급망 하에서의 교역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진단을 통해 향후 글로벌 경제·안보 및 산업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국내 부가가치수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는 주력 산업인 전자,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GVC 현황을 분석하고 변화하는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GVC 재편 관련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2023년 기준 가장 최신의 데이터인 ICIO(2021)를 사용하여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인 전자, 자동차 산업에 대한 부가가치수출 분해 결과를 분석에 반영하였으며, 특히 최근 미·중을 중심으로 한 거시적 정책환경(국가-산업) 변화를 미시적 단위(산업-품목)의 시사점으로 연계한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가진다.

The recent GVC disconnection caused by the Russia-Ukraine war, COVID-19, US-China hegemony and technology competition requires strategic policy establishment and preparation at the national level as it goes beyond firm-level response capabilities. Since transactions under already established supply chains still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rade in the perspective of firms, based on diagnosis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efforts are required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security and industri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GVC, focusing on the electronics and automobile industries, which are the main industries that contribute the most to Korea's domestic value-added exports, and summarize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GVC restructuring to respond to the changing trade environment. This study uses ICIO (2021), the most up-to-date data as of 2023, to analyze the results of value-added export decomposition of Korea's main export industries, electronics and automobiles. In particular,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inks recent changes centered on the US-China in the macro policy environment (country-industry) to the implications of the microscopic aspect (industry-item).

Ⅰ. 서론

Ⅱ. 글로벌 가치사슬

Ⅲ. 한국 제조업의 부가가치교역 현황

Ⅳ. 한국 주요 산업의 GVC 현황 및 쟁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