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수출 촉진 요인과 유통채널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xport Promotion Strategies and Distribution Channel Design Strategies for the Korean Cosmetics and Toiletries in China
중국 내 한국 화장품의 수출은 2019년부터 증가세가 큰 폭으로 둔화하고 있다. 중국의 전체 화장품 수입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22.2%에서 2021년 17.3%까지 하락했으며, 지속적인 하락이 우려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대중국 한국 화장품의 수출 증진을 위한 중국 내 화장품 수출 촉진 요인을 도출한 후, 그 요인들과 한국 화장품 수출실적과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중국의 거시 경제 환경적 분야에서 한국 화장품의 수출 촉진 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한국 화장품 수출기업의 효과적인 중국 화장품 시장 유통채널 선택전략을 제안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대중국 화장품 수출 촉진 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 가처분 소득 및 휴대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 화장품의 수출액이 증가하지만, 도시화 수준과는 정(+)의 관계에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 내에서 급성장하는 도시화 수준과 비교하여 한국 화장품 수출기업들이 중국 서부와 북부의 3선, 4선 중소도시로 유통채널을 연장하거나 판매채널을 확보하지 못해 판매가 비례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향후 한국 화장품의 대중국 유통채널 선택 및 관리 방안은 우선, 한국 화장품 수출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므로 간접 유통방식의 채택과 함께, 중국 내 서해안 연안 대도시 및 서부와 북부의 중소 3-4선 도시로 유통채널을 연장함이 바람직하다. 둘째, 중국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른 모바일 전자상거래와 O2O 방식 옴니채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중국 내 중·고가의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Chinese cosmetics market is showing rapid growth. This study analyz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smetics exports and China’s macroeconomic facilitation factors. After analyzing Chinese cosmetics market and challenges for Korean cosmetics companies, this paper suggests an effective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for Korean cosmetics companies. Indirect distribution, optimum route pla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from metropolises, utilization of electronic commerce, differentiation between premium brands and diffusion brands and strategic quanxi orientation shall be required for most of the Korean cosmetics compan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f export promotion factors of Korean cosmetics export in Chinese market are limited to a few variables and that this paper does not cover Chinese regional market segment’s characteristics. However, this paper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on the distribution channel strategies for Korean cosmetics export in China and suggests some strategic solution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중국 화장품 수출촉진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Ⅳ. 대중국 화장품 유통채널의 설계와 관리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