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앙고고연구 제4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수종분석을 통한 영산강 유역 취락 식생구조 분류

Mahan-Baekje settlements and forest compositio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DOI : 10.20292/jcich.2023.41.25
  • 49

본 연구에서는 수종 식별과 군집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영산강 유역 취락 인근의 식생구조를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취락에서 발견된 고목재는 건축재, 연료, 목제 생활도구 등의 잔존물이며, 그 소재는 대부분 유적 인근에서 벌채되어 조달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복원된 수종 구성은 일차적으로 주변 식생 환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영산강 유역에 위치한 선·역사시대 유적 18개소의 고목재를 식별하고 목재군을 군집분석한 결과, ① 밤나무, ② 소나무, ③ 참나무류-활엽수, ④ 참나무류 우세군의 네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참나무류-활엽수와 참나무류 우세군은 온난 습윤한 기후와 장기간 교란이 없는 안정적인 환경을 의미한다. 반면 소나무 우세군의 등장은 식생교란에 따른 이차림 확대와 선별적 목재 선택을, 밤나무 우세군의 등장은 과실수 관리와 재배를 반영한다. 밤나무는 특히 200년 CE 이후 마한백제계 유적에서 출현 비율이 높다. 선사시대에는 야생 상태의 도토리를 식용하여 굳이 견과류 수목을 재배하지는 않았으며, 역사시대에 들어와 취락이 장기간 점유되고 영역성이 강화되면서 수목재배가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다. 마한백제계 취락에서 보이는 밤나무 재배의 흔적은 마한 관련 사서에서 밤이 비중 있게 언급된 점과도 상통한다.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archaeological wood remains and cluster analysis. The wood remains from archaeological contexts represent building materials, fuel, or wooden tools, and it is likely that most of them were sourced from the vicinity of the site. Consequently, the identified wood remains primaril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surrounding vegetation. The identification of wood remains from 18 archaeological si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combined wit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vealed that the wood composi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1) chestnut tree dominant, (2) pine tree dominant, (3) oak and broad-leaved tree dominant, and (4) oak tree dominant. The presence of the oak and broad-leaved tree dominant groups suggests a warm humid climate and a stable environment without ecological disturbance. Conversely, the appearance of the pine tree dominant group indicates the expansion of secondary forests and selective timber collection. The presence of the chestnut tree dominant group implies the management and cultivation of fruit trees. Notably, the Mahan-Baekje settlements exhibit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chestnut wood. This suggests that arboreal cultivation began during the historical period, as the settlements were occupied for longer periods and territoriality became more pronounced. Historical records on Mahan also support the possibility of chestnut cultivation in Mahan-Baekje villag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영산강 유역 식생 변화

Ⅲ. 자료와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고찰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