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기독교교육 논총 제7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공지능 시대의 기독교교육 방향성에 대한 고찰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OI : 10.17968/jcek.2023..74.005
  • 179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의 올바른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를 위해서 이론 및 문헌 연구로 인공지능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통해 인공지능의 특징을 분석했고, 교육의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융합적 교육과 현재 우리나라의 정책적 방향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고찰했다. 특히 연속성(continuity)과 변화(change)의 관점으로서 시대가 변해도 기독교교육이 본질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지켜나가야 하는 교육목적과 시대상을 반영해 변화되어야 할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 고찰했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인공지능 시대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이라 할지라도 기독교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을 상실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은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사명을 높일 수 있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해야 할 것이다. 그렇기에 기독교교육은 성경에 근거한 하나님 중심의 교육으로서 창의-융합적 그리스도인 양육을 목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공간이 융합된 인공지능 기반의 하이브리드 교육환경과 메타버스 교육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환경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 몰입도 및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앞선 교육환경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인공지능 기반 에듀테크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동력있는 지식을 가진 그리스도인을 양육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 탐구와 성찰의 과정을 통해 지식과 삶의 일치를 추구하는 구성주의 인식론을 근거 이론으로 하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접근은 삶의 경험과 지식의 일치를 통해 믿음과 배움의 전체적인 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correct direction of education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a key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oretical a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First, the research analy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search analyzed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current policy direction in South Korea. Through this analysis, the research examine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e research criticall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context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earch reflected upon the fundamental educational purposes of Christian education that should remain unchanged despite the changing times. Furthermore, the research deliberated o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that should adapt to the changing dynamics of the er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eve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fundamental obj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not be compromised.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should serve as a tool that fulfills the mission permitted by God. Therefore, Christian education should remain centered around God, rooted in the principles of the Bible. Moreover, Christian education should aim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Christian nurturing. To achieve this, it is crucial to provide learners with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ctively utilizes AI-based hybrid learning environments and metaverse educational platforms,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spaces. Moreover, to enhance learners' engagement and effectiveness in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actively utilize AI-based edutech that reflects the aforementioned educational environments. Lastly, in order to cultivate Christian learners with dynamic knowledge, it is crucial to employ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grounded in constructivist theories, which emphasize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collaboration, inquiry, and reflection. These approaches seek to align knowledge with life experiences, promoting a holistic convergence of faith and learning.

I. 들어가는 말

II.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III.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IV. 인공지능과 기독교교육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