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기독교교육 논총 제7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블랜디드 수업에서 자기조절의 구성 요인 중 인지조절에 대한 인지적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탐색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인지조절에 대한 인지적 실재감의 영향에 대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탐색이 목적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대학의 사범학부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인지조절, 인재적 실재감, 학습동기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학습동기는 평균을 산출하여, 학습동기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학습동기 수준에 따라 인지조절 수준의 평균을 비교하였고, 인지조절에 대한 인지적 실재감의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다중회귀(선택적 방법)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으로 학습동기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분석 결과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인지조절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은 인지절 실재감의 하위요인 중 내용이해만 인지조절에 영향이 나타났고, 낮은 집단은 인지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이 영향을 주었다.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on cognitive regulation.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0 preservice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the Faculty of Education of a university. The survey measured cognitive control, human presence, and learning motivation. Among the collected data, learning motivation was averaged. In addition, a group with low learning motivation and a group with high motivation were distinguished. Next,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s of cognitive control by classifying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Stepwise) method to explore the effect of cognitive presence on cognitive control. Fir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ntire group.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group with low learning motivation from the group with high motivatio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oup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cognitive control than the group with low motivation. In the group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only content understanding among the sub-factors of cognitive presence had an effect on cognitive control. In the group with low learning motivation, all factors of cognitive presence were affected.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