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16권 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안전도시 모델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Parameters of Safety City Models

DOI : 10.21729/ksds.2023.16.2.1
  • 156

코로나 19 이후 도시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기관에서 도시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용산구는 2021년 사회안전지수 평가에서 1위로 선정되어 한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로 선정되었으나, 2022년 이태원 참사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도시의 안전을 평가하는 지표가 담지 못하는 영역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 외 안전도시 모델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각 모델의 차이점과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지표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11개 안전도시 모델을 수집하고 각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안전도시 모델은 세계보건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유엔재해경감기구의 국제안전도시와 같이 기관에서 인증을 하는 “프로그램 기반의 안전도시 모델”과, 기관별 안전 관련 평가지표의 점수에 의해서 안전도시 순위 및 등급이 결정되는 “점수기반의 안전도시 모델”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안전한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모델이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될 때 도시 안전을 위협하는 제반 요소를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안전에 대한 위협이 다양해짐을 고려해볼 때 안전도시를 평가할 때 디지털 보안, 보건 안전, 인프라 안전, 개인 안전, 환경 안전, 교통 안전, 화재 안전, 범죄 안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는 결론을 얻었다.

As interest in urban safety has increased since COVID-19, various institutions have developed and used indicators that evaluate the safety city model. Yongsan-gu was ranked No. 1 in 2021 by Social Safety Index evaluation and was selected as the safest city in Korea. However, the Itaewon disaster in Yongsan-gu in 2022 caused many casualties. The study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cities’ safety wa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and foreign safe city models and review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model and the indicators used to evaluate safe cities. As a result of collecting 11 safe city models and analyzing each evaluation index, safe city models can be classified into program-based safe city models, such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International safe community and the UN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s International Safe city. Considering the diversification of threats to safety, it is reasonable to comprehensively consider digital security, health safety, infrastructure safety, personal safety, environmental safety, traffic safety, fire safety, crime safety, life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s when evaluating safe cities as evaluation parameters.

1. 서론

2. 안전도시 개념

3. 주요 안전도시 모델 및 평가인자

4. 결과 분석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