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수와 학생의 수업 평가를 활용한 수업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Classes Using the Class Evalua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Focused on D University

  • 160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3호.jpg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의 수업 평가를 활용하여 수업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 관해 교수의 주관적 인식이 반영된 교과목 CQI 평가와 학생의 강의평가를 동시에 고려하여 수업 균형 지수(Balance of Instruction Index)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균형 수업과 불균형수업, 그리고 불균형수업 중에서 다시 불균형-과대수업과 불균형-과소수업으로 구분하여 균형적 수업 운영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D 대학의 전체 수업 중 균형과 불균형수업의 비율이 7:3으로 나타났으며, 불균형수업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교수가 학생보다 자신의 수업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비율이 과대평가하는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수와 학생이 모두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균형 수업(균형 수업 중 교수-학생 평가가 모두 평균 이하)에 대해서는 긴급 개입(수업 분석, 전문가컨설팅, 교수역량 향상)이 필요하며, 모두 긍정적인 균형 수업에서는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학내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학생보다 교수가 자신의 수업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불균형-과대수업은 학생 수업 평가를 고려한 수업 분석,수업 진단평가 및 교수역량별 향상 전략을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반대로 교수보다 학생이 해당수업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불균형-과소수업은 교수의 수업 효능감을 향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수업의 주체인 교수와 학생이 바라보는 수업 평가를 모두 고려하여 바람직한 형태로 수업을 개선하는데 비교적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classes by utilizing the classevalua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in university classes. To this end, the Balance ofInstruction Index was derived by considering the CQI evaluation reflecting the professor'ssubjective perception of the class and the student's lecture evaluation. As a result, the ratio ofbalanced and imbalanced classes among all classes at D University was 7:3, and amongunbalanced classes,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underestimating their classes was relatively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ccordingly, emergency intervention (class analysis, expertconsulting, and teaching capacity improvement) is required for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torelatively negative balanced classes (all below average in balanced classes), and in all positivebalanced classes, best practices are required to be discovered and shared with members. On theother hand, imbalanced-over classes where professors evaluate their classes mor positively thanstudents need to explore class analysis, class diagnosis evaluation and improvement strategiesfor each teaching competency, while imbalanced-under classes in which students evaluate theclass more positively than professors need to improve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This is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 basis for relatively objective judgment as the class isimproved in a desirable form by considering the evaluation of the class viewed by bothprofessors and students who are the subject of the cla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