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코로나 19(COVID-19) 감염병의 확산되며 강력한 방역정책을 시행하였고 사회적으로 일상활동이 제한되었다. 비대면 중심의 생활양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범죄양상도 변화가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범죄들은 감소하였지만, 비대면 범죄들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범죄들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펜데믹 상황에서 범죄의 변화뿐만 아니라 경찰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다. 2021년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함으로서 경찰의 사무영역과 활동에도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이후 코로나 19는 ‘감염병 주기적 유행(풍토병)’으로 변화하면서 사회는 일상활동을 회복하고 있고 치안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맞춰 경찰은 치안활동의 변화에 따른 정책과 활동을 전개하여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감염병 펜데믹 상황과 이후 엔데믹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치안환경의 변화를 분석하고,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경찰의 현안과 치안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일상활동의 회복에 따른 변화된 범죄 및 안전사고 대응 및 예방활동 강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경제상황의 악화가 지속됨을 고려하여 금전 및 재산범죄에 대한 예방과 대응활동을 제시하였다. 셋째, 치안거버넌스를 형성하여 범죄유형과 대상에 맞춰 복지차원의 치안활동을 제시하였다.
In 2020,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nd strong quarantine policies were implemented, which restricted social activities. As the lifestyle changed to a non-face-to-face-centered lifestyle, the crime pattern also changed. Crimes that could have occurred in daily life decreased, but non-face-to-face crimes and crimes committed at home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pandemic situation, not only the crime but also the police had a big change. In 2021,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which led to various changes in the police's office area and activities. Since then, COVID-19 has changed to an E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and society is recovering from daily activities and the security environment is changing. In line with this situation, the police should develop policies and activities that reflect the changes in security activitie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nges in the public safety environment, focusing on Chungcheongnam-do,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its transition to an endemic phase.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present the current issues within the police force and provide directions for public safety activities. Firstly, we propose strengthened responses and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hanges in crime and safety incidents resulting from the recovery of daily activities. Secondly, considering the continued economic downturn, we suggest preventive and responsive actions against financial and property crimes. Thirdly, we propose the formation of a security governance system, which includes welfare-oriented public safety activities tailored to specific crime types and target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충청남도의 치안 및 자치경찰 활동 현황
Ⅳ. 자치경찰의 치안활동 방향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