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홀리스틱교육연구 제27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우리나라 교육과정 통해 살펴본 무용 교육

Dance education examined through the Korean curriculum

DOI : 10.35184/kshce.2023.27.2.165
  • 6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부터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무용 교육 관점에서 예술/체육교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전체적인 변화과정을 통해 맥락을 찾아내고 교육과정 내 무용 교육의 역사적 변화 및 교과 정체성을 찾고자 했다. 첫째, 무용 교육과정 도입기(교수요목기~제1차 교육과정)는 애초에 미술과 음악처럼 독립교과로 시작되지 못한 태생적 배경으로 인해 무용 교육과정에 뿌리를 내리는 데 한계를 노출했다. 둘째, 무용 교육과정 정착기(제2차 교육과정~제4차 교육과정)는 체육교과 내용제시 중 하나로 제시되면서 학문으로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며 많은 대학이 무용학과를 신설했다. 셋째, 무용 교육과정 과도기(제5차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는 통합된 교과로 편성·지향하던 시기로 음악과 미술도 둘 중 하나로 선택이 가능하게 되면서 사실상 예술 교과와 체육교과로 구분되기 시작한 시점이다. 넷째, 무용 교육 과정 변혁기(2009 개정 교육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로 예술 교과와 체육교과로 경계가 확립되면서 무용이란 용어 대신 표현이란 용어를 영역에서 제시하고 있다. 더욱이 연극이 추가로 예술 교과에 포함되면서 무용은 교과로서 정체성 위기 및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다가올 2022 개정 교육과정과 2025 고교학점제를 통해 무용과는 그간의 잘못된 교육과정 교과 분류 기준을 반드시 개선할 수 있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P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ance, from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revised curriculum in 2015.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iculum document was used as an analysis target to find the context through the overall process of change and to find the historical change and subject identity of the dance in the curriculum. First,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dance curriculum (Syllabus Period to the 1st curriculum), the dance department exposed its limitations in taking root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natural background of not originally starting as an independent subject like art and music. Second, during the settlement of the dance curriculum (the 2nd to the 4th curriculum), dance was presented as one of the contents of the PE curriculum, developing as a discipline, and many universities established dance departments. Third,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dance curriculum (the 5th to the 7th curriculum) was a time when it was organized and oriented as an integrated subject, and as it became possible to select between music and art, it was actually divided into art and PE subjects. Fourth, during the transformation period of the dance curriculum (Revised Curriculum in 2009 to Revised Curriculum in 2015), as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was established, the term ‘expression’ is presented in the domain instead of the term ‘dance’. Moreover, as plays ar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arts subject, dance is adding to the identity crisis and seriousness as a subject. Through the upcoming 2022 revised curriculum and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refore, I hope that dance subjects can improve the wrong curriculum classification standards so far.

Ⅰ. 서론

Ⅱ. 무용 교육과정의 변화

Ⅲ. 무용과 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