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한국판 암 적응 척도(KMAC) 개발의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ental Adjustment to Cancer Scale(KMAC)

간행물 정보
  • 이용수 12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초록

목적: 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심리적 문제가 발생하는가는 그 환자가 암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적응하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암 환자의 정신적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척도가 Watson 등(1988)이 개발한‘암 적응 척도(Mental Adjustment to Cancer scale)’이다. 이 연구는 이 척도의 한국어 번역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예비적으로 검증하여 횡문화적 적용성을 가름해 보았다. 방법: 한 대학병원 혈액종양내과 외래에서 통원치료 중인 암 환자 중 편의 수집의 방법으로 한국판 암 적응척도(KMAC), CES-D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 scale), 건강평가척도(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등을 시행하 였으며 최종 67명의 이질적인 암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KMAC의 내적 일관성은 Cronbach α가 .84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주성분 요인분석 상 3가지의 요인구조가 추출되었는데, 이 3개의 요인이 총 분산의 49%를 설명하였다. 첫 요인은 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총 분산의 17%를 설명하였고(Eigen값 =5.8),‘무망감/무력감(HH)’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요인은 11개 항목인데 총분산의 16%를 설명하고(Eigen 값=5.4)‘불안 몰두 (AP)’ , 셋째 요인은 13개 항목으로 총분산의 15% 설명하고(Eigen 값=5.0)‘투지(FS)’로 분류하였다. 기존 문헌과 같이 HH와 AP는 유의하게 상호 연관되어 있었고(p<0.05), CES 우울척도의 점수와도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HH p<0.01, AP p<0.001). 결론: 작은 군집수로 인한 통계적 해석의 제한점이 있으나 이 예비 연구는 KMAC이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도구로서 한국인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원본과 비교하여 횡문화적 측면과 번역의 미묘한 문제들을 논의하였으며, 이러한 개선점을 바탕으로 KMAC의 완성본을 부록에 제시하였다.

목차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