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적응장애로 입원한 병사와 일반병사의 정신병리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Psychopathology between Soldiers Admitted for Adjustment Disorder and Normal Soldiers

목 적: 많은 병사들이 군 부적응의 문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군부적응의 요인들에 대한 간헐적인 연구들은 이루어져 왔으나, 군 병원에 입원을 요하는 심각한 적응장애 환자들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국군 ○○병원에 입원한 적응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 병사와 비교하여 어떤 정신병리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6월 1일부터 2005년 2월 28일까지 국군○○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정신과 전문의(5인)에 의해서 적응장애로 진단되어진 환자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2004년 12월 1일 현재 국군○○병원 본부 근무대에 소속된 장병 116명을 저 계급자 순으로 무작위로 선발하였다. 두 군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1) K-Social Avoidance & Distress(이하 K-SAD라 지칭)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을 경험하는 정도와 잠재적으로 혐오하는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측정하며 진위형 28문항으로 되어있다. 2) Barret Impulsiveness Scale 11판(이하 BIS-11 이라 지칭) 무계획, 운동, 인지에 관한 충동성을 측정하며 2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Symptom Checklist -90-Revision(이하 SCL-90-R 이라 지칭) 9개 증상차원, 9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불안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 과: K-SAD 점수가 적응장애 환자군에서(102.12±25.16) 대조군에(75.59±16.69) 비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5). 적응 장애 환자군에서 총충동성(57.70±10.64), 인지충동성(22.67±4.60), 운동충동성(18.09±4.32), 무계획 충동성(16.94±3.16) 모든 항목에서 정상대조군의 총 충동성(50.28±8.34), 인지충동성(20.27±3.39), 운동충동성(14.83±3.66), 무계획 충동성 (15.16±2.80)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05). SCL-90-R 검사에서 신체화 척도를 포함하여 적응장애 환자군 에서(62.31±15.19) 정상 대조군(47.26±8.20)에 비해 모든 척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05). 결 론: 국군 ○○병원에 입원중인 102명의 적응장애 환자군이 116명의 정상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p<0.05) 사회불 안을 느끼고 있었으며 인지, 운동, 무계획 충동성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p<0.05) 충동성향을 보였고, SCL-90-R 검사에서 신체화 척도를 포함한 9가지 소척도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p<0.05) 결과를 보였다.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