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r.jpg
학술대회자료

미래 해양교통의 공간적·운영방식 등의 변화에 따른 대비전략 마련에 대한 소고(小考)

  • 4

우리나라는 60개의 항만, 113개의 국가어항 및 2,299개의 어항 및 포구에서 총 97,638척의 선박이 등록되어 운항되고 있다. 이중 약 66%인 6만 4천여 척이 3톤 미만의 소형선박이고 낚시, 요트 등 해양레저인구의 증가로 인해 수상레저기구도 증가하고 있다. 해상의 이용하는 교통현황과 더불어 해상풍력발전단지 개발, 해상공원, 국립공원 등 해양이용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양활동의 증가는해양을 이용하는 수단인 선박의 충돌, 침몰, 접촉, 좌초 등의 사고발생도 꾸준히 증가시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같이 “해상”이라는 공간에서 “선박”이라는 수단을 통해 이동하는 교통의 개념이 지금까지지속되고 있으나, 해상뿐만 아니라 “해저(海底), 해중(海中), 공중(空中)”의 입체적 공간을 모두 활용 및이용하는 “이동체”에 대한 해양교통의 개념으로의 변화와 더불어 이를 위한 해양교통의 관점에서 기술적·교육적·정책적 전략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자율운항선박(MASS) 등의 출현은 해상교통로의 지정, 원격 또는 자율 운항선박의 운용기준 등 이동체의 운영주체가 인적자원에서 로봇 등으로 자동화·무인화로변화되는 해양교통에 대한 운영방식 변화에 따른 전략도 마련되어져야 한다. 공간적인 변화에 있어서 해저 및 해중의 공간이 탐사, 레저 등의 공간에서 거주의 공간으로 변화되는 가운데 해저 및 해중에서의교통체계 및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공중의 공간 역시 WIG선 등과 같은 비행선박에 대한 변화뿐만아니라 위성 등의 활용방안도 동시에 모색하는 해양교통분야가 되어야 한다. 운영방식 변화에 있어서는선박의 인적사고를 줄이고, 로봇 등을 활용한 원격조종 및 무인화의 기술개발 등으로 인해 해양교통에있어서도 인적자원에 대한 관리가 아닌 시스템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