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기전문화연구 제44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이건창 생가의 지리적 위치와 형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Shape of the Birthplace of Youngjae Lee Kun-chang

DOI : 10.26426/KCS.2023.44.1.75
  • 54

본고에서는 그동안 문화재의 차원에서 조명되었던 ‘이건창(李建昌) 생가(生家)’라는 유적지에 대하여, 주로 한문 문헌을 근거자료로 삼아 그 지리적 위치와 건축물로서의 형상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고에서의 논의를 통해 이건창의 출생지가 강화도(江華島)임을 분명히 하였고, 문헌자료와 지리정보를 통해 이건창 생가의 지리적 위치가 정당함을 확인하였으며, 초가집으로 복원되어 있는 현재의 모습이 이건창과 그 선조들의 의식지향에 부합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또한 가옥 뿐만 아니라 조경요소를 재정비 하게 될 경우에 대비하여, 이건창 당대에 그가 애호하였던 수목(樹木)들을 복원할 수 있도록 문헌자료에서 찾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건창 생가에 대한 거국적인 관심과 지원이 지속되고 지리학·건축학·전통조경학계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정밀한 융합적인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discussions on its geographical location and shape as a building were conducted on the historical site called “Lee Kun-chang's Birthplace”, which had been illuminated at the level of cultural assets, mainly using Chinese literature as evidence. Through discussions in this paper, it was clear that Lee Kun-chang's birthplace was Ganghwa-do, and literature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confirmed that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Lee Kun-chang's birthplace was justified, and the current appearance restored as a thatched house was in line with the consciousness of Lee Kun-chang and his ancestors. In addition, in case of reorganizing not only houses but also landscaping elements, it was found and presented in literature so that the trees he loved at the time of the founding could be restored.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national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birthplace of Lee Kun-chang will continue, and more precise and convergent research will be derived from architecture and traditional landscape academia.

1. 이건창의 출생지

2. ‘이건창생가’의 지리적 위치

3. ‘이건창생가’의 형상

4.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