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기전문화연구 제44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왕화(王化)와 풍속(風俗)의 변주

The Variation of the Politics of Edification[王化] and Local Customs[風俗]: focusing on town chronicles of Gyeong-gi Province in Joseon Dynasty

DOI : 10.26426/KCS.2023.44.1.153
  • 31

조선에서는 꾸준히 지역 풍속을 관찰해 기록하며 왕조 정치를 반성할 자원으로 삼았다. 왕기(王畿)의 땅 경기는 먼 지역의 모범이 될 좋은 풍속을 가져야 한다고 여겨졌다. 조선 전기에 경기 지역은 수도 한성부 주민들이 성취한 선속을 어느 정도 따라가고 있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두 차례의 전란과 왕조의 기나긴 복구 과정에서 경기 지역은 큰 변화를 겪었다. 양보와 배려의 풍속, 본업에 충실하고 순박하고 질박한 풍속을 가진 곳들이 늘어났지만, 18세기 후반이나 19세기까지도 좋은 풍속을 갖지 못한 곳도 있었다. 풍속의 부진은 항산이 넉넉해야 가르칠 수 있다는 교화 담론, 경기 백성들이 담당했던 과중한 역, 상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기풍이나 잦은 이동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19세기 중엽에는 이익으로 인도해서 백성들이 모여 살게 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안민(安民) 위주의 담론이나 풍속 항목 관찰에 대한 포기도 경기나 경기와 가까운 지역에서 등장했다.

It was believed that the Gyeong-gi province, being close to the capital, should have “a noble custom” that could serve as a model for the rest of the distant regions. In the very early period of the dynasty, Gyeong-gi showed some aspects of keeping up with the achievements of the residents of the capital, Hanseong, to a certain extent. However, Gyeong-gi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wo wars[兩亂] followed by the long process of restoration. Until the late 18th century, the custom of this region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custom of the southern part of Joseon, Gyeongsang, and Jeolla. The latter two areas were successfully establishing harmonious customs based on their pure-minded nature unlike Gyeong-gi. Even until the late 19th century, some places in Gyeong-gi couldn’t possess noble customs. This unexpected situation was explained by several reasons. Some tried to explain it with the edifying discourse which says learning is possible when only economic conditions are favorable. Some pointed out the heavy roles played by the people in Gyeonggi, the ethos of pursuing commercial interests, and the frequent movement in this area. In the mid-19th century, a new discourse emerged in Gyeong-gi and its surrounding areas, which stressed material profit as a measure to bring people togeth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growing tendency of giving up making a noble custom.

1. 머리말

2. 조선전기 경기 풍속 관찰의 기준

3. 17~18세기 경기 풍속의 변화와 왕화

4. 19세기 왕기(王畿)의 역설과 풍속 담론의 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