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가족과 문화 제35집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활시간자료를 통해 본 기혼 여성취업자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생활영역별 사용시간 분배양상 및 삶의 만족도

Time Use in Various Life Domains and Life Satisfaction by Occupational Status of Married Female Workers

DOI : 10.21478/family.35.2.202306.002
  • 66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성취업자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생활영역별 사용시간(경제활동, 가사노동, 돌봄노동, 개인유지, 여가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각각의 시간들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 중 기혼이면서 경제활동에 참여 중이라고 응답한 30~50대 여성 2,863명의응답자료를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를 살펴본 결과 상용직(58.4%)이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고, 그다음이 임용직(14.1%)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10.4%)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상 지위에 따른 생활영역별 사용시간을 살펴보면,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는 상용직 근로자와 경제활동 시간사용이 유사할 정도로 높았고 특히, 고용주는 다른 종사상 지위에 비해 경제활동에절대적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대부분의 생활영역별 사용시간에는 종사상 지위에따른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개인유지 활동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생활영역별사용시간과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사상 지위에 따라 유의성이 나타난변인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활영역별 사용시간이 기혼 여성취업자의 삶의 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은 임금근로자, 그 중에서도 상용직 근로자에서 보다 두드러지게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취업자의 종사상 지위에 주목하여, 일을 비롯한 생활영역 사용시간 양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또한, 종사상 지위에 따라 생활영역별 시간들이 그들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기혼 여성취업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지원에 차별적인 접근을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ime usage (economic activities, housework, care work, personal maintenance, and leisure activities) of life domain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tatus of married female workers, and to find out how each time is related to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response data from 2,863 women aged 30 to 50 who responded that they had a spouse and we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among the 2019 living tim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ular workers accounted for 58.4% of the occupational status, followed by temporary workers (14.1%) and self-employed workers without employees (10.4%). Second, self-employed and unpaid family workers used a lot of economic activities similar to regular workers, and in particular, employers spent the most time on economic activ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time of the other domain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tatus, excluding individual maintenance time.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tatus. It was more pronounced in wage workers, especially regular workers, that the time used by each life domai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female workers. The study focused on the occupational status of married female workers, expanding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the time patterns by life domains. This study is meaningful by confirming the need for a discriminatory approach to institutional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arried female worker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