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거지(巾車志)>는 왕실 여성인 분성군부인(盆城郡夫人) 허씨(許氏, 1645~1722)가 제주도로 귀양 간 두 아들을 따라가서 겪었던 경험을 기록한 한글 일기이다. 그녀는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1645)의 셋째 아들 경안군(慶安君, 1644~1665)의 부인이며, 임창군(臨昌君) 이혼(李焜, 1663~1724)과 임성군(臨城君) 이엽(李熀, 1665~1690)의 어머니이다. 1679년(숙종 5) 강화도(江華島)에서 왕통을 부정하는 흉서가 발견되는 사건이 일어난다. 여기에 임창군과 임성군이 연루되어 왕명에 의하여 제주도로 유배 가게 된다. 이에 분성군부인은 두 아들을 지키기 위하여 그들을 따라가는데, 오랜 세월이 지나 그 기억을 한글로 저술한 작품이 바로 <건거지>이다. 그동안 이 작품은 왕족이 한글로 자신의 경험을 남긴 기록이며, 여성이 자신의 목소리로 유배 체험을 말하고 있는 흔치 않은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그런데 지금까지 연구에서 <건거지>는 주로 가문 내부에 보이기 위하여 기록된 것이라고 평가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작자가 직접 박사수(朴師洙, 1686~1739)에게 한문으로 번역하라고 지시한 데다 국문으로 번역한 유배에 관한 기록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문 내부뿐만 아니라 가문 외부에도 보이기 위하여 쓴 글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작자가 <건거지>에서 자신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 작품의 창작 동기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거지>에서 분성군부인은 다양한 모습으로 자기를 그리고 있는데, 이는 ‘집안의 여가장’, ‘정쟁의 희생자’, ‘적소의 이방인’이라는 세 가지 양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처럼 작자는 인정투쟁의 장으로서 글쓰기를 이용하여 소현세자 집안의 무죄를 주장하고, 정쟁으로 인한 자신의 상처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self-representation in Geongeoji, which was written in Korean by Bungseonggunbuin Heossi in 1715. She was born in 1645 and died in 1722. The book was written in the latter days of her life. After she married Gyeongangun, the third son of Crown Prince Sohyeon of Joseon, she was embroiled in a lot of political struggles. Since she lost her husband because of illness in 1665, she raised her two sons on her own. They were involved in the conspiracy in 1679 because they were grandsons of Crown Prince Sohyeon who died a mysterious death in 1645. Thus some people believed that Imchanggun, the first grandson of Crown Prince Sohyeon, was the rightful heir to the throne instead of King Sukjong. She followed her sons, who spent their days in exile from 1679 to 1684 on Jeju Island and other regions like Haenam, Samcheok and etc. Geongeoji is a book which largely contains Bungseonggunbuin's experiences during her sons' exile. So far, it was researched as a woman's writing, an exile journal, and a record of the royal family. Although other researchers believed that the book was written to impart teachings to her descendants and to appreciate King Sukjong, in reality, its intention was to prove her family's innocence and to assert it to the King. This study discusses why the book was written by exploring female self-representation in it. I compared self-representation of Geongeoji with that of Gohaengrok, which was written in Korean by Hansan Lee who followed her husband, a famous government official, who spent his days in exile from 1680 to 1704. Bungseonggunbuin represents herself as the head of the family, a victim of political struggles, and a stranger in exile. She tried to depict her efforts to relieve her family by suppressing her feelings, to assert her sons' innocence by writing people's saying and her dreams, and to document unusual customs in the island. She used her writing as a field of recognition struggle to prove her family's innocence to the King and to recover an old wound she had got during the political struggles.
1. 서론
2. 자기 재현의 양상
3. 자기 재현의 의미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