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경제발전연구 第29卷 第2號.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재・부품・장비 산업 지원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Evaluation of Korea’s Material, Parts, and Equipment Industry Support Policy and Its Implications

DOI : 10.20464/kdea.2023.29.2.2
  • 325

본 논문은 2019년 일본의 전략물자 수출규제에 대응하여 시행된 소재·부품·장비(이하 “소부장”) 경쟁력강화 정책을 개관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소부장 전문기업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과 4개 기업의 사례연구를 시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정책수혜 전문기업과 비수혜 전문기업 총 2,165개기업에 대해 2017년부터 2021년 기간의 패널자료를 구성하고, 2요인 고정효과 모형(TWFE)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정책수혜기업의 수익성, 고용, 특허등록 등에 긍정적인 정책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R&D 지원을 포함한 소부장 정책의 재구조화를 통한 업그레이드, 소부장 기술인력 확충, 기업특성별 맞춤형 지원 등의 정책개선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효과적인 데이터확보·관리 방안과 함께 실증분석을 포함한 지속적 정책성과 평가체계를 구축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다만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소부장 지원정책 전부가 아닌 4개 지원정책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사례조사 대상 기업의 수가 충분하지 못한 것은본 연구의 한계이다.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s competitiveness-strengthening policy fo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PME policy), which was implemented in response to Japan's export regulations on strategic materials in 2019. The study conducts empirical analysis and case studies to evaluate the policy's effects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Specifically, panel data from 2,165 companies, including policy beneficiaries and non-beneficiaries, are collected for the period from 2017 to 2021. Using a two-way fixed effects (TWFE) model, the analysis reveals positive policy outcomes in terms of profitability, employment, and patent registration for the policy beneficiary companies. The paper proposes policy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upgrading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he PME policy, expansion of PME technical workforce, and tailored support based on company characteristics, including R&D support.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the establishment of an effective data management strategy and a continuous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However, due to data limitations, only four specific support policies were analyzed, and the small number of companies studied is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Ⅰ. 서론

Ⅱ. 소부장 지원정책의 개관

Ⅲ. 소부장 지원정책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Ⅳ.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