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과 대처방안

Risk Factors and Managemen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에서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 법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에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입원하였던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였고, 다중회귀분석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지속시간에 관련이 있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알코올 진전섬망 발생에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으로 알코올 진전섬망 과거력이 있는 경우(p=0.012), 내과질환이 있는 경우(p=0.008), 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AST) 수치가 높은 경우(p=0.032)가 해당하였다. 알코올 진전섬망 지속시간에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시간당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투여량이 적은 경우(p<0.001) 진전섬망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 입원시 시행 가능한 간단한 문진(알코올 진전섬망 과거력 유무, 내과질환 유무)으로 어떤 환자에서 진전섬망의 발생을 특별히 더 주의해야 하는 지 알 수 있다.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적극적인 투여로 진전섬망의 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develop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and to find a solution.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alcohol use disorder inpatients admitted to a psychiatric hospital between January 2019 and December 2022. Results : Th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included an alcohol withdrawal delirium history (p=0.012), medical illness (p=0.008), and higher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s (AST) (p=0.032). In the variable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the longer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the less use of a benzodiazepine during alcohol withdrawal delirium (p<0.001). Conclusion : The simple history-taking (previous alcohol withdrawal delirium history and medical illnesses) that can be performed when a patient with alcohol use disorder is hospitalized can reveal which patients need special attention for the occurrence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Careful observation by medical staff and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a benzodiazepine drug are necessary to reduce the duration of alcohol withdrawal delirium.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