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갑산부의 고지도를 위상수학적 방법, 기하학적 방법, 대역 기하학적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지도가 내포한 실제적 지리내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위상수학적으로 갑산부 고지도가 가리키는 곳은 현 백두산 북쪽에서 출발하는 송화강 상류 지류와 무송진撫松鎭, 유수진楡樹鎭, 흥삼진興參鎭, 추수향抽水鄕, 북강진北岡鎭, 유수천향楡樹川鄕, 만량진萬良鎭, 선인교진仙人橋鎭, 화수진樺樹鎭, 만강진漫江鎭, 동강진東岡鎭 등의 근방이다. 갑산부 고지도에서 가리키는 지리적 위치는 이처럼 현 백두산 북쪽 지역 송화강 상류지역이며, 이 지역의 강들은 옛 압록강(현 혼강)과 연결되어 있지 않음에도 이 지역의 강들이 옛 압록강으로 흘러간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다. 이것이 지리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인지 국경을 정함에 있어 편의상 그렇게 생각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19세기 프랑스인이 그린 동북아 지도에는 압록강의 상류와 목단강(옛 토문강)의 상류를 맞닿게 그려져 있다(참조: [그림 12]). 이는 국경을 정하기 위해 옛 압록강 상류와 갑산부 강을 연결해서 그린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흔히 조선시대 갑산부 고지도에 나타난 갑산부와 혜산진이 현재 북한 압록강 유역의 혜산과 갑산이라고 믿고 있으나 본 논문을 통해 조선 시대 고지도에 나타난 갑산부의 실제 위치는 이러한 우리들의 상식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We analysed the old map of Gabsanbu of Chosun by topological method and geometrical method and compared it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Hyusan, Gabsan of North Korea, and with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Musonghyun, Baeksansi of China. We revealed that the old map of Gabsanbu of Chosun is not the map of the neighborhood of Hyusan, Gabsan of North Korea. We concluded that the old map of Gabsanbu is a topological map of the neighborhood of Musongjin, Liusujin, in Baeksansi of China. We found the real place of the capital of Gabsanbu in the old map of Gabsanbu of Chosun. The real place of the capital of Gabsanbu is changed by Musongjin(撫松鎭), Musonghyun of China. Hyusanjin, Unpagwan, Unryong, Jindong, Heorin, Dongin, Jarin, Ungyee, Jongpo, Cheonbulsa are changed by Lyusujin(楡樹鎭), Heungsamjin(興參鎭), Chusuhyang(抽 水鄕), Bukgangjin(北岡鎭), Lyusucheonhyang(楡樹川鄕), Manlyangjin(萬良鎭), Seoningyojin(仙人橋鎭), Hwasujin(樺樹鎭), Mangangjin(漫江鎭), Donggangjin(東岡 鎭), respectively. We also revealed that Baekdu Mountain of Chosun is not present Baekdu Mountain of North Korea and that Baekdu Mountain of Chosun is Mogong Mountain in north part of Gyungbak Lake(鏡泊湖). Many Koreans have learned and recognized that Gabsanbu of Chosun is not the neighborhood of North Korea Gabsan. After reading this paper they change their old recognitions.
Ⅰ. 서론
Ⅱ. 갑산부 고지도 분석과 대응하는 영역의 구글지도 분석
Ⅲ. 조선조 백두산 고지도와 북한 백두산(중국 명 장백산) 근방 위성 지도 비교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