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민화 속 화훼 소재를 대상으로 화훼도상의 상징성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고, 최근 섬 관광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는 지방정부의 해양관광콘텐츠로서 치유성을 극대화 한 민화 속 화훼도상의 상징성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섬 지역의 관광산업은 낙후되고소외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지역 이미지 개선의 효율적 수단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민화속 화훼도상의 상징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시점이다. 이와 같이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민화속 화훼도상의 상징성 활용을 위해서는 섬지역의 특화된 꽃 축제와 관련된 민화 속 화훼도상 관광상품을 만들고, 민화 관련 고유문화 와 전통을 살리기 위한 노력이 동시에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본 연구는 민화 속 화훼가 감정과 의사를 표현하는 은유적 의사소통수단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가정을 검증하여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해‘꽃’을 활용하는 지방정부의 해양관광콘텐츠를 다양화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 민화 속 화훼의 상징성을 분석하고우리 선조의 꿈과 염원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섬관광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해양관광콘텐츠로서 치유성이 강한 민화 속 화훼의 상징성을 꽃 축제에 적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symbolism of flower icons in folk paintings, and proposes a plan to utilize the symbolism of flower icons in folk paintings that maximize healing properties as marine tourism contents for local governments seeking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want to present In particular, it is time to actively utilize the symbolism of flower icons in folktales in that the tourism industry in the island region is becoming an effective means of revitalizing the underdeveloped and neglected local economy and improving the regional image. In this way, in order to utilize the symbolism of flower iconography in folktales for revitalizing island tourism, it is time to make efforts to make tourism products related to flower festivals in the island area specialized in flower festivals in the island area and to preserve the unique culture and tradition related to folktales. This study argues that flowers in folk paintings are a metaphorical means of communication expressing emotions and intentions, and verifies these assumptions to contribute to diversifying marine tourism contents of local governments that use 'flowers'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do. As subjects of research, the symbolism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was analyzed and the dreams and aspirations of our ancestors were analyzed. Through this, as a marine tourism content of the local government for revitalizing island tourism, a plan was proposed to actively utilize the symbolism of flowers in folk paintings with strong healing properties by applying them to flower festivals.
Ⅰ. 서론
Ⅱ. 이론 및 현황 고찰
Ⅲ. 선행 연구의 분석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