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팬더믹 이후 이슈가 되고 있는 4차산업 핵심기술인 디지털 네트워크 인공지능등으로 구축된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유경제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마케팅 사례연구를 통해,메타버스 생태계에서 제3의 물결의 저자 앨빈 토플러가 제시한 프로슈머(생산자+소비자)의 활동과 수익모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공유경제 내에서 메타버스를 생산자와 소비자가 잘 활용하기위해서는 우선, 프로슈머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함으로써메타버스에 능동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또한, 프로슈머의 커뮤니티 확대를 위한 매력적인 콘텐츠의 중요성은 메타버스 활성화의 주요 요인이며, 생태계 확장성을 통한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상생협력으로 모든 참여자에게 수익 창출이 지속적이어야 메타버스에서 프로슈머가 성공할 수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유경제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프로슈머가 수익을 직접 창출할 수 있는 위톡 시스템을 사례로 제안하였다.
Through a case study of marketing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sharing economy using the metaverse built with digital network artificial intelligence, a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y, which has become an issue after the pandemic caused by Corona 19, the third wave in the metaverse ecosystem A study on the activities and profit models of prosumers (producers + consumers) presented by Alvin Toffler, the author of In order for producers and consumers to make good use of the metaverse within the sharing economy, it is importa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etaverse by having a business model that can generate stable profits for prosumer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ttractive content to expand the prosumer community is a major factor in vitalizing the metaverse, and prosumers can succeed in the metaverse only when profits are continuously generated for all participants through win-win cooper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through ecosystem scalability.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d the WeTalk system as an example, in which prosumers using Metaverse in the sharing economy can directly generate profits.
I. 서론
II. 공유경제와 프로슈머
III. 프로슈머를 위한 메타버스 기술과 모델
IV. 공유경제에서 프로슈머를 위한 디지털 네트워크 인공지능 메타버스 마케팅 활용방안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