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로 현재 아동들의 지역사회 주거환경 속에서 아동이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며 삶의 만족감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또한 아동친화도시 6대 영역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아동친화도시를 위한 건설적이고 구체적으로 보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대상은 G시 B구 아동 5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 밖 학생보다 아동권리인식과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의 권리는가정환경, 교육환경, 보건과 사회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권리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은 가정환경, 교육환경, 놀이와 여가순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가정환경, 교육환경, 안전과 보호 순으로학교 밖 학생은 가정환경, 놀이와여가, 보건과 사회서비스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교육, 안전과 보호, 놀이와 여가, 보건과 사회서비스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종합적 개입과 방안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on ways to create a child-friendly city, and it i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children are aware of their rights and live with a sense of satisfaction in their current community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6 areas of child-friendly cities are analyzed in detail so that constructive and specific supplements can be made for child-friendly citi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by surveying 505 children in District B of G C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higher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satisfaction than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out-of-school students. Second, children's rights that affect satisfaction were in the order of home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ealth and social services. Third, children's rights that affect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lay and leisure appear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afety and protection appeared in the order. As for out-of-school students, home environment, play and leisure, and health and social servic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and method approach that considers various aspects such as education, safety and protection, play and leisure, health and social service is needed to create a child-friendly c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추천 논문
-
이태수 국제사회복지학회 국제사회복지학 제6권 제2호 2016.09
-
이은혜(Lee Eun Hye), 홍영준(Hong Young Jo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생명연구 제56집 2020.05
-
조진우(Cho Jin-Woo) 경희법학연구소 경희법학 제56권 제1호 2021.03
-
유희정, 권순정, 강순원, 변종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국제이해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2017.06
-
조다다, 홍관선 한국콘텐츠학회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0 No.6 2020.01
최근이용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