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천의 생태시설물 설치에 의한 하상변동 특성 분석
Analysis of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Installing Ecological Facilities in River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9 No.4
- 2023.04
- 55 - 63 (9 pages)
본 연구는 분석 대상 구간인 조천의 생태시설물에 대한 1차원과 2차원 수리 특성 분석을 실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하천의 종·횡단면 자료, 단면 조도계수 등과 같은 수리 특성 자료를 위해 2차례의 현장조사가 진행되었으며, 1차원 수치 모의 수행을 위한 흐름 자료 구축 및 기점 수위를 산정하여 경계조건을 설정하였다. 이에 「조천 하천기본계획」에 의한 유량, 조도계수와 1차원 수리 특성 분석 결과로 도출된 기점 수위를 RMA-2모형의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전체구간과 시설물 설치구간의 유속을 모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정된 유속을 활용한 SED2D 모의로 대상 하천의 전체구간 및 시설물 설치구간의 하상변화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천의 하폭이 유속에 많은 영향을 주며, 상류로 유입되는 부유사농도가 하상 변화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생태시설물 설치로인한 하상변화와 이에 따른 하천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ecological facilities of Jocheon. For this purpose, two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hydraulic characteristic data such as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data of rivers and roughness coefficient, and boundary conditions were set by establishing flow data for on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and calculating the starting point of water level. The water level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one-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according to the 「Jocheon Basic River Plan」 as input data for the RMA-2 model. Lastly, the riverbed changes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target river and the facility installation section were confirmed and analyzed through SED-2D simulation using the calculated flow velocity.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width of the riv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low rate. In additon to this,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 flowing into the upstream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river bed.
Ⅰ. 서론
Ⅱ. 이론 분석
Ⅲ. 대상유역 및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